예금과 적금, 뭐가 다를까? 이자 계산법까지 한 번에 정리!
- 공유 링크 만들기
- X
- 이메일
- 기타 앱
돈은 모으는 것도 중요하지만, 어떻게 불릴지 아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. 사실 돈을 벌고는 있지만 자산을 관리하기 위해 어떻게 해야 효과적인지 관심이 많은데요. 지금부터 예금과 적금의 차이, 이자 계산법, 은행 상품까지 모두 알아보며 실제 내 돈을 움직이는 방법을 배워봅시다.
🔎 1. 예금과 적금, 이름은 비슷하지만 다릅니다
항목 | 예금 | 적금 |
---|---|---|
입금 방식 | 한 번에 큰 금액 예치 | 매달 일정 금액 저축 |
이자 계산 | 주로 단리, 복리 가능 상품도 있음 | 보통 단리, 일부 복리 가능 |
용도 | 여유자금 운용 | 매월 저축 습관 형성 |
추천 대상 | 목돈이 있는 분 (40대 가장, 퇴직금 등) | 소득이 일정한 학생, 직장인, 주부 |
중도 해지 | 일부 상품은 이자 손해 적음 | 대부분 기본금리 미적용 |
✔ 예금(정기예금)
목돈을 한 번에 예치하고, 만기까지 이자 수익을 얻는 방식
안정성이 높고, 예치 금액이 클수록 이자 수익도 커짐
✔ 적금(정기적금)
매달 정해진 금액을 저축
작은 돈도 습관적으로 모을 수 있는 장점
📈 2. 이자 계산, 어떻게 될까요?
구분 | 단리 | 복리 |
---|---|---|
계산 방식 | 원금만 기준 | 원금 + 이자에 다시 이자 |
예: 1,000만 원, 연 5%, 10년 | 약 1,500만 원 | 약 1,628만 원 |
✅ 예금 이자 계산 (단리 기준)
공식: 이자 = 원금 × 이율 × 기간
예) 1,000만 원 × 3.5% × 1년 = 35만 원 (세전)
세금(15.4%) 공제 후: 약 29만 5천 원
실제 상품 예시:
KB국민은행 KB Star 정기예금 – 연 3.5%
신한은행 쏠편한 정기예금 – 연 3.3% 이상 가능
✅ 적금 이자 계산
공식 (단순화):
이자 ≈ 월납입액 × 이율 × (기간+1) ÷ 24
예) 30만 원씩 12개월, 연 3% → 이자 약 48,750원 (세전)
세금(15.4%) 공제 후: 약 41,250원
실제 상품 예시:
우리은행 우리 WON 적금 – 최고 연 4.0%
카카오뱅크 26주 적금 – 소액 습관형 저축
💡 3. 은행 상품 고를 때 꼭 봐야 할 포인트
📌 이자 방식 (단리/복리 여부 확인)
📌 우대금리 조건 (자동이체, 카드 사용, 급여이체 등)
📌 중도 해지 시 조건 (해지이율/기본금리 적용 여부)
📌 인터넷/모바일 전용 상품 (금리가 높은 경우 많음)
📌 이자 지급 방식 (만기일 지급 vs 매월 이자 지급)
4. 예금과 적금, 이렇게 활용해보세요
🔹 예금 추천 상황
🔹 적금 추천 상황
퇴직금, 상속금, 일시적 여유 자금
목표 없이 ‘안전하게 굴릴 돈’이 있을 때
매달 남는 생활비 저축
결혼자금, 여행경비, 자녀 학비 같은 목표형 저축
📌 복합 전략 추천!
💸 목돈은 예금
💰 매월 여윳돈은 적금
→ 자산 안정 + 습관 형성, 두 마리 토끼를 잡자
🧮 보너스: ‘72의 법칙’으로 복리의 마법 계산하기
연이율(%) | 자산이 두 배 되기까지 시간 (72의 법칙) |
---|---|
3% | 24년 |
6% | 12년 |
9% | 8년 |
72 ÷ 연이율(%) = 자산이 두 배가 되는 데 걸리는 시간 (대략)
예) 연 6% 이율이라면 → 72 ÷ 6 = 12년
즉, 12년 후엔 돈이 2배로 불어납니다.
(복리 상품일 경우에 해당)
✅ 정리하며: 이 글을 읽고 나면 할 수 있는 것
✔ 예금과 적금의 차이를 명확히 이해한다
✔ 상품 가입 전, 이자 계산법과 조건을 따질 수 있다
✔ 나의 상황에 맞는 금융 상품을 고를 수 있다
다음 글에서는 2025년 고금리 특판 예적금 상품 비교(TOP 5)를 다룰 예정입니다.
궁금하신 점은 댓글이나 문의로 남겨주세요.
금융 지식, 함께 차근차근 채워가요 😊
- 공유 링크 만들기
- X
- 이메일
- 기타 앱