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5년 청년 주택 지원 정책 총정리 (행복주택·매입임대·전세임대·월세지원)
- 공유 링크 만들기
- X
- 이메일
- 기타 앱
요즘 뉴스에서 청년들의 주거난을 쉽게 접할 수 있습니다. 그래서 정부에서는 청년층의 주거 안정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.
행복주택, 청년 매입임대주택, 전세임대주택, 청년 월세 지원사업은 그 대표적인 예입니다.
이 글에서는 2025년 현재 청년이 신청할 수 있는 주요 주택 지원 정책을 혜택, 신청조건, 제출서류, 신청방법 순으로 알기 쉽게 정리해드립니다.
🏠 1. 행복주택
✅ 주요 혜택
-
시세의 60~80% 수준의 저렴한 임대료
-
지역별 커뮤니티 공간 및 편의시설 제공
-
최장 10년까지 거주 가능 (입주자 유형에 따라 상이)
✅ 신청 조건
-
연령: 만 19세 이상 ~ 만 39세 이하의 미혼 청년
-
무주택자: 본인 및 배우자 모두 무주택자
-
소득 기준: 가구원 수에 따른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의 100% 이하
-
1인 가구: 3,598,715원 이하
-
2인 가구: 5,477,003원 이하
-
3인 가구: 7,626,973원 이하
-
4인 가구: 8,578,088원 이하
-
-
자산 기준:
-
총자산: 3억 3,700만 원 이하
-
자동차: 3,803만 원 이하
-
✅ 제출 서류
-
주민등록등본
-
소득 및 자산 증빙 서류 (예: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, 금융자산 내역 등)
-
기타 해당 기관에서 요구하는 서류
🏢 2. 청년 매입임대주택
✅ 주요 혜택
-
시세의 40~50% 수준의 매우 저렴한 임대료
-
다양한 주택 유형 및 지역 선택 가능
-
최장 6년 거주 가능
✅ 신청 조건
-
연령: 만 19세 이상 ~ 만 39세 이하의 미혼 청년
-
무주택자: 본인 무주택자
-
소득 기준:
-
1순위: 기초생활수급자, 차상위계층, 한부모가정 등
-
2순위: 본인과 부모 합산 월평균 소득이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의 100% 이하
-
3순위: 본인 월평균 소득이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의 100% 이하
-
-
자산 기준:
-
총자산: 3억 4,500만 원 이하
-
자동차: 3,708만 원 이하
-
✅ 제출 서류
-
주민등록등본
-
소득 및 자산 증빙 서류
-
기타 해당 기관에서 요구하는 서류
✅ 신청 방법
전국 거주자: LH 한국토지주택공사에서 모집 공고 확인 후 온라인 신청이용
서울 거주자: SH 서울주택도시공사 이용
경기도 거주자: GH 경기주택도시공사 이용
🏘️ 3. 청년 전세임대주택
✅ 주요 혜택
-
시중 전세 시세보다 낮은 보증금 및 월 임대료
-
본인이 원하는 주택 선택 가능
-
최장 6년 거주 가능
✅ 신청 조건
-
연령: 만 19세 이상 ~ 만 39세 이하의 미혼 청년
-
무주택자: 본인 무주택자
-
소득 기준:
-
1순위: 기초생활수급자, 차상위계층, 한부모가정 등
-
2순위: 본인과 부모 합산 월평균 소득이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의 100% 이하
-
3순위: 본인 월평균 소득이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의 100% 이하
-
-
자산 기준:
-
총자산: 3억 4,500만 원 이하
-
자동차: 3,708만 원 이하
-
✅ 제출 서류
-
주민등록등본
-
임대차계약서 또는 입주 희망서
-
소득 및 자산 증빙 서류
✅ 신청 방법
전국 거주자: LH 한국토지주택공사에서 전세임대 관련 공고 확인 및 신청
서울 거주자: SH 서울주택도시공사 이용
경기도 거주자: GH 경기주택도시공사 이용
💰 4. 청년 월세 지원 사업
✅ 주요 혜택
-
월 최대 20만 원까지 월세 지원
-
최장 12개월간 지원 가능
✅ 신청 조건
-
연령: 만 19세 이상 ~ 만 34세 이하의 무주택 청년
-
소득 기준: 가구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의 60% 이하
-
예: 1인 가구 기준 약 1,435,200원 이하
-
-
자산 기준: 순자산가액 1억 700만 원 이하
-
주거 조건:
-
보증금 5천만 원 이하, 월세 70만 원 이하 주택 거주
-
-
기타 조건:
-
청약통장 가입 필수
-
부모와 별도 거주하는 무주택 청년
-
✅ 제출 서류
-
주민등록등본
-
임대차계약서 사본
-
소득 및 자산 증빙 서류
-
월세 납부 영수증 또는 계좌이체 내역
✅ 신청 방법
-
거주지 관할 시군구청에 문의 또는 마이홈포털에서 확인 및 신청
🏢 LH 청약센터, SH 청약센터, GH 청약센터 차이점 비교표
구분 | LH 청약센터 | SH 청약센터 | GH 청약센터 |
---|---|---|---|
공식 명칭 | 한국토지주택공사 (Land & Housing Corporation) |
서울주택도시공사 (Seoul Housing) |
경기도주택도시공사 (Gyeonggi Housing) |
관할 지역 | 전국 (서울·경기 포함) | 서울특별시 전역 | 경기도 전역 |
공급 주택 종류 | 행복주택, 매입·전세임대, 국민임대 등 대부분의 전국 사업 |
서울시 행복주택, 역세권 청년주택, 장기전세 등 | 경기도 행복주택, 매입임대, 신혼부부주택 등 |
청약 시스템 | LH 청약센터 바로가기 | SH 청약센터 바로가기 | GH 청약센터 바로가기 |
입주 자격 | 전국 청년, 신혼부부, 고령자, 저소득층 등 | 서울 거주자 중심, 연령·소득 조건 있음 | 경기도민 우선, 연령·소득 조건 있음 |
특징 | 대부분의 공공임대 및 지원 사업 총괄 | 서울시 자체 기획 사업 포함 (예: 역세권 청년주택) |
경기지역 맞춤형 사업 운영 (예: 경기행복주택) |
📌 팁: 청년이 주택을 신청할 때 이렇게 하세요!
-
서울 거주자 → LH + SH 공고 둘 다 확인!
-
경기 거주자 → LH + GH 공고 둘 다 확인!
-
기타 지역 거주자 → LH 공고 중심으로 신청!
📊 기준 중위소득 150% 표 (2025년 기준)
가구원 수 | 중위소득 100% (월) |
중위소득 150% (월) |
---|---|---|
1인 | 2,392,013원 | 3,588,020원 |
2인 | 3,932,658원 | 5,898,987원 |
3인 | 5,025,353원 | 7,538,030원 |
4인 | 6,097,773원 | 9,146,660원 |
5인 | 7,108,192원 | 10,662,288원 |
6인 | 8,064,805원 | 12,097,208원 |
※ 참고: 본인 소득만 보는 경우도 있으나, 일부 사업은 가구 전체 소득 기준입니다. 모집 공고 확인 필수!
📝 마무리 TIP: 청년 주택정책, 이렇게 준비하세요!
-
정기적으로 공고 확인: LH 청약센터, 마이홈포털, 거주지 관할 지자체 홈페이지
-
자산 및 소득 서류 미리 준비: 건강보험 납부확인서, 등본, 임대차계약서 등
-
신청 조건 체크: 연령·소득·자산 기준 확인 후 지원 정책 선택
-
커뮤니티/뉴스 활용: 빠른 공고 확인을 위해 블로그, 카페, 청년정책 SNS 팔로우 추천
청년 여러분, 정부의 주거 지원 정책을 활용하여 안정적인 주거 환경을 마련하시기 바랍니다. 각 지원 사업의 정확한 내용과 신청 방법은 해당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- 공유 링크 만들기
- X
- 이메일
- 기타 앱