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5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완전정리! 6개월 근속으로 120만원 받는 방법
- 공유 링크 만들기
- X
- 이메일
- 기타 앱
🧑💼 요즘 신입들, 왜 이렇게 빨리 퇴사할까?
요즘 청년들이 취업 후 1년도 채 되지 않아 회사를 떠나는 일이 잦아지고 있습니다. 최근 조사에 따르면, 국내 기업 10곳 중 6곳에서 신입사원의 평균 근속 기간이 1~3년에 불과하다고 합니다. 더 놀라운 사실은 **4개월~1년 미만이 33%, 심지어 3개월 이내 퇴사도 6%**나 된다는 점입니다.
그 이유는 무엇일까요?
-
✅ "일이 나와 맞지 않는다"는 응답이 약 60%
-
✅ 연봉이 낮아서
-
✅ 회사 분위기나 인간관계가 어려워서
하지만 이런 현실 속에서 정부는 청년들의 조기퇴사를 막고, 중소기업은 인재를 붙잡기 위해 ‘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’을 2025년에 더 강화된 내용으로 개편해 시행하고 있습니다.
💸 2025년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, 이렇게 달라졌어요!
기존에는 18개월, 24개월 근속 시 240만 원씩 지급되던 인센티브가 이제는 6개월마다 120만 원씩 나눠서 지급됩니다.
근속 기간 | 지급 금액 |
---|---|
6개월 | 120만 원 |
12개월 | 120만 원 |
18개월 | 120만 원 |
24개월 | 120만 원 |
💡 반년만 근무해도 120만 원을 받을 수 있는 셈!
게다가, 기존에는 졸업생만 가능했지만 이제는 졸업 예정자도 참여할 수 있어요.
👩💻 누가 받을 수 있나요?
2025년부터는 ‘근속 인센티브가 앞당겨져 더 빠르게 받을 수 있습니다. 기존에는 18개월, 24개월을 채워야 240만 원씩 두 번 받을 수 있었는데요, 이제는 6개월마다 받을 수 있도록 분할 지급 방식으로 바뀌었습니다.
구분 | 지원 대상 요약 |
---|---|
나이 | 만 15세 ~ 34세 이하 청년 |
취업처 | 중소기업, 제조업, 빈 일자리 업종 등 |
고용 형태 | 정규직 채용 필수 |
근속 요건 | 최소 6개월 이상 재직 |
고용보험 가입 | 필수 가입 조건 |
🏢 기업도 함께 혜택을 받아요!
청년만 지원을 받는 게 아닙니다. 청년을 채용하고 6개월 이상 고용 유지한 기업도 월 최대 60만 원, 연 최대 720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.
기업에게 돌아가는 혜택
-
신규 채용 청년 1인당 월 최대 60만 원
-
1년간 최대 720만 원
-
실업자나 취약계층 청년 채용 시에도 동일하게 지원 가능
💡 기업은 이 지원을 통해 근무 환경 개선, 부서 재배치 등으로 이탈 방지 노력도 하게 됩니다.
📝 신청 방법은 이렇게!
청년 신청 방법
-
정규직으로 채용된 후 최소 6개월 근무
-
고용보험에 가입되어 있을 것
-
‘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’ 참여 기업일 것
-
해당 기간이 지나면 본인이 직접 인센티브 신청
기업 신청 방법
-
‘고용24’ 사이트에서 참여 기업으로 등록
-
청년 정규직 채용 후 6개월 이상 고용
-
인센티브 신청 서류 제출
📍 신청 사이트: 고용24 바로가기
👀 함께 보면 좋은 글
청년을 위한 필수정책 BEST 5|정부가 지원하는 진짜 혜택 2025년 청년 주택 지원 정책 총정리 (행복주택·매입임대·전세임대·월세지원)- 공유 링크 만들기
- X
- 이메일
- 기타 앱